<p></p><br /><br />이번엔 개발과 보존, 정반대 가치가 팽팽하게 맞서는 현장으로 가보겠습니다. <br><br>제주, 비자림인데요. 도로를 넓히려면 삼나무 숲을 벌목해야 하는데 1년 만에 공사를 재개했다가 또 하루 만에 중단했습니다. <br><br>소똥구리 같은 멸종 위기종을 지켜야 한다. 아니다, 주민 불편과 안전 문제를 외면하지 말라. <br><br>여러분은 어느 쪽 손을 드시겠습니까. <br><br>사공성근이 간다에서, 함께 생각해 보시죠. <br><br>[리포트]<br>[사공성근 / 기자] <br>곳곳에 나무들이 베어진 채 놓여있습니다. 이곳 제주 비자림로에서는 지난달 27일 하루 동안에만 300그루의 나무가 잘려나갔습니다. 지난 3년 동안 도로확장 공사가 시작됐다 멈추기를 반복하고 있는데요. 현장의 목소리를 들어봤습니다.<br> <br>확장공사는 현재 왕복 2차선인 비자림로를 4차선으로 넓히는게 핵심입니다.. <br><br>2018년부터 3구간에서 1천 그루가 넘는 나무가 잘려나갔고. 이번에는 2구간에서 삼나무 벌목 작업이 이뤄졌습니다.<br> <br>1년 만에 재개된 공사는 환경청 제지로 하루 만에 중단됐습니다. <br> <br>지난해 비자림로 2구역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애기뿔소똥구리 여러 마리가 발견됐는데, 제주도가 소똥구리를 위한 대체서식지나 생태도로 마련 없이 공사를 시작했다는게 이유였습니다. <br> <br>숲에 오두막까지 짓고 감시해 온 시민단체도 공사재개를 비판했습니다. <br> <br>[김순애 / 비자림로지키기 시민모임] <br>"하루 안에 나무가 300여 그루 나무가 그냥 벌채돼 버렸어요. 이건 대체 누구의 책임인가. 누가 책임질 것인가." <br> <br>제주시가 약속한 소똥구리 대체서식지의 효용에 의문을 표하는 목소리도 있습니다. <br> <br>[이강운 /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 소장] <br>"인공적으로 서식지를 만들어서 옮기는데, 이후에 관리할 수가 없기 때문에, 사실은 성공 사례가 거의 없습니다." <br> <br>앞서 천연기념물 팔색조가 비자림로에서 포착됐을 때 제기된 논란이 되풀이 되고 있는겁니다. <br><br>[사공성근 기자] <br>"왕복 2차선인 비자림로는 보시는 것처럼 차량 통행량이 적지 않습니다. 하지만 도로변에는 차를 대거나 사람이 걸을 공간은 없는데요 일부 주민들이 도로 확장공사를 시급하게 주장하는 이유입니다." <br> <br>주민들은 벌채된 삼나무 숲은 인공조성 숲이라 보존 가치가 낮고 소똥구리도 제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곤충이라고 반박합니다. <br> <br>보존을 외치는 시민, 환경단체의 주장은 주민 안전과 불편을 외면한 발목잡기라는 겁니다. <br> <br>[홍용기 / 제주 구좌읍 이장협의회장] <br>"천 명이 넘는 인구인데 우리 마을에도. 그분들이 생업을 영위하는 도로입니다. 우리는 목숨을 걸고 지나다니는 도로예요." <br> <br>제주도는 주민들의 요청을 수용해 확장 대상인 비자림로 2.9km 구간과 이어지는 다른 도로의 확장도 계획 중입니다. <br> <br>넓은 도로와 멸종위기 동식물 가운데 후손이 무얼 물려받을 지는 이달 중 나올 예정인 환경영향 평가결과에 따라 정해지게 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사공성근입니다. <br> <br>402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김찬우 <br>영상편집 : 최동훈